황정희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5-19 20:26 Views 2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Related links
Body
황정희
황정희作 일상의 단편을 통해 인간 군상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특별한 작품 전시회 ‘갤러리 포항 후원인 사진전-인간, 무엇으로 사는가?’가 사진 전문 갤러리 갤러리포항(포항시 북구 죽도로19 2층)에서 오는 30일까지 개최된다. 포항의 사진 연구단체인 공간너머 안성용 사진가가 기획한 이번 전시회에는김배근 김수정 김숙경 남옥희 남태식 라이너 맹하섭 박성두 박영희 안재현 윤철희 이창순 황정희 등 13명의 사진가와 김시현 , 지광식, 권순종, 박시현 등 4명 후원자들의 사진작품 30여 점이 선보인다. 김숙경作 김시현 사진작가는 통일신라시대의 독창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보기 드문 유물 경주 정혜사지 13층 석탑을 촬영했다. 황정희 작가는 2020년부터 인도의 종교와 문화, 그리고 생노병사 굴레의 삶을 찍는 다큐멘터리 작가다. 이번 전시작품은 힌두교의 성지 바라나시의 버닝가트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인도인의 장례문화를 담았다. 상주는 머리를 깍고 화장터를 지키면서 시신의 두개골이 파열되는지를 살피고 파열되지 않았으면 대나무 막대기로 시인의 두개골을 쳐서 깨는 의식을 한다. 이런 행위는 갇혀 있던 혼을 풀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김시현作 김숙경 사진가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어떤 의미를 지녀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성찰하며 인간의 존재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존재의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동해에서의 최근 작업을 선보이고 있으며 광활한 우주 속에서 티끌만 한 크기로 존재하는 인간 삶 속에서 느끼는 존재의 의미에 관한 이야기를 준비했다. 박영희 사진가는 삶의 배경을 통해 작가 개인의 내면에 스며든 기억을 들춰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 ‘바람, 바램’을 주제로 미세하고 도드라진 입자와 대상 간의 중첩을 활용한 피그먼트 프린트 작품을 위주로 한 흑백 사진을 선보인다. 현장감을 극대화하는 조명의 조도를 통해 관람객의 시선을 낮은 (왼쪽부터) 아들 김평섭 군, 정준 씨 언니, 정준 씨 어머니·아버지, 정준·김태상 씨 부부 가족. /본인 제공 "낳아주시고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거실 한복판, 열 산 된 손자 김평섭(10) 군이 정성스럽게 쓴 편지를 읽으며 외할머니의 생신을 축하했다. 케이크 위에는 작은 초들이 켜져 있었다. 정준(48) 씨의 남편 김태상(53)씨가 손수 준비한 케이크였다. 촛불을 붙이고,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생일 노래도 불렀다. 정준 씨는 손수 만든 잡채와 오징어볶음, 미역국까지 차려내며 식탁을 풍성하게 채웠다. 글 싣는 순서 ①우즈베키스탄 성아린 씨 “시끌벅적한 글로벌 우리 가족”②중국 정준 씨, 날마다 ‘하하호호’·심심할 틈이 없는 3대가 함께 사는 가정③베트남 쩐티이엔피 씨, “내 삶의 이유는 우리 가족·베트남 돌아갈 이유 없어”④중국 오리리 씨, “K문화 좋아서 한국 며느리 됐어요”⑤우즈베키스탄 이유진 씨, “조금 달라보이나요? 달라서 더 소중한 우리 가족” 정준 씨의 집은 하루 종일 대화 나누는 목소리와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부엌과 거실, 방 안 어디서든 사람 소리로 가득 찬 이 집은 늘 명절처럼 분주하다. 그는 “집에 사람이 많으니까 심심할 틈이 없다"며 “중국 사람들이 목소리가 좀 크기도 하다”며 밝게 웃었다. 중국 출신인 정준 씨는 올해로 한국 생활 13년 차다. 여행으로 처음 한국에 왔었지만, 지인의 소개로 남편을 만나면서 한국에 정착하기로 결심했다. 6개월의 교제 끝에 결혼을 결정하고, 이후 남편은 정준 씨의 고향 중국까지 찾아가 인사를 드렸다. 정준 씨는 “당시 남편이 우리 가족 분위기가 너무 좋다고 했다. 부모님도 남편 인상이 좋다고 참 좋아하셨다”고 회상했다. 정준 씨 친정 어머니는 한국계 중국인이다. 한국말을 어느 정도 하다보니 한국말을 못하는 정준 씨를 돕고 손주도 봐주기 위해 한국에 들어왔다. 아버지는 중국 국적을 유지한 채 한국에서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 남편 김태상 씨는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제 없이 자란 외동이었다. 그래서인지 장인·장모와 함께 사는 데 망설임이 없었다. 김 씨는 “다른 사람들은 장인·장모님을 모시는 게 힘들지 않냐고 하는데 나는 어릴 적부터 혼자 자라다 보니 어른과 같이 사는 게 정말 감사하다"며 "장인어른, 장모님이라기보다는 그냥 아버
황정희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