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ontact

경북 영양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5-19 10:21 Views 4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

Body

경북 영양 포산리 주택 피해 현장. 기후위기기록단 “저기도 주택이었고 여기도 다 주택이었고… 이거 다 주택이었습니다.”지난달 29일 경북 영덕군 대곡리. 마을 주민이 가리킨 곳은 텅 비어 있었다. 집들이 모여 있던 자리에 아무것도 없었다. 지난 3월 말 영남 산불 직후, 일주일 동안 불탄 집들이 잿더미가 되어 쌓여 있었다. 지금은 화마의 흔적도 대부분 사라져 영덕군 석리와 노물리에만 일부 불탄 건물이 남아 있는 정도다.화마에 휩쓸린 경북 주택 ‘흔적 없이 사라지다’경북 산불의 대표적 피해 마을인 의성군 사촌리엔 임시 주택이 들어서는 중이었다. 최청자(83)씨는 “63년째 이곳에 살면서 이 정도로 큰 규모의 불난리를 처음 겪었다”고 했다. 주위 8채 중 최씨 집만 빼고 모두 전소했다. 이웃들은 근처 체육관에서 임시로 지내는 중이다. 그는 “내가 살맛도 안 나. 쓸쓸해 죽겠구먼. 혼자(만) 여기 (남아) 살고…”라며 눈물을 글썽였다.영덕의 대곡리 마을은 42가구의 집 중 5채만이 화마에서 살아남았다. 이미 철거 작업이 시작돼 곳곳이 비어 있었고, 포크레인이 굉음을 내며 건물 잔해를 쓸어 담았다. 대곡리 주민 김경호(63)씨는 3월25일 산불 당일을 회상하며 “불구덩이에 있어 본 사람 아니면 누구라도 그 심정을 모른다”며 한숨을 지었다. 그는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 ‘마을 소멸’을 꼽았다. 주민 중 세입자였던 이들은 자기가 살던 곳에 다시 집을 짓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경북 의성 상화2리 주택 피해 현장. 기후위기기록단 경북 의성 사촌리 피해 주택 철거 현장. 손주영 철거된 집터를 가리키는 경북 영덕 대곡리 주민 김경호(63)씨. 손주영 경북 영덕 노물리에 산불로 무너져내린 건물 잔해가 쌓여 있다. 손주영 동해안과 맞닿은 영덕 노물리는 관광지 ‘블루로드’로 유명하다.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던 마을이지만, 지난달 29일 길거리에서는 마을 이장과 경로당 총무, 보험회사 직원만 볼 수 있었다. 이 마을에선 강풍을 타고 의성에서 넘어온 산불로 인해 236세대 중 170여 가구가 전소했다. 배도 30척 중 절반가량이 타버렸다. 어업과 관광업으로 살아가는 노물리 주민들은 생계에 직격탄을 맞았다. 이장 김재현(62) 16일 타지키스탄 수도 두샨베에 위치한 토지개간관개청에서 홍석화 코이카 코이카 지역사업II 본부 이사(오른쪽)와 다브랏조다 자파르벡 타지키스탄 관개청장(왼쪽)이 타지키스탄 농업용수 관개 관리 현대화 지원 사업에 대한 협의의사록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코이카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기 기후변화로 위기에 직면한 타지키스탄의 농업을 지원한다. 코이카는 지난 16일(현지시각) 타지키스탄 정부와 기후변화 회복력 강화를 위한 농업 분야 2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협의의사록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의의사록 체결식은 홍석화 코이카 지역사업II 본부 이사의 타지키스탄 방문 계기에 이뤄졌다. 이번 협의의사록 체결로 코이카는 5년간 1850만달러를 투입해 타지키스탄 농업용수 관개 관리와 시설 원예농업의 현대화를 지원하는 사업을 펼친다. 사업을 통해 루다키(Rudaki), 히소르(Hisor)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 시설 개선, 생산성 향상 및 생산품 판로 개척 등 농업 전 분야에 걸쳐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농업용수 관개 관리 현대화 지원 사업은 노후 관개시설(양수장, 양수 시설, 관개 모니터링 시스템)을 현대화해 상시적인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사업이다. 루다키 지역 약 3만명의 주민이 혜택 대상이다. 농민 스스로 관개수로 준설과 유지보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포크레인, 불도저, 덤프트럭과 같은 기자재도 지원도 이뤄진다.홍석화 코이카 이사는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위기이자 모두의 지혜와 경험이 절실히 요구되는 과제"라며 "코이카는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타지키스탄 소규모 농가의 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브랏조다 자파르벡 타지키스탄 관개청장은 "이번 사업으로 3만명 이상의 농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예상되는 만큼 기대가 크다"며 "코이카를 통해 한국의 발전된 수자원 관리 경험을 공유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설 원예농업 현대화 기반 구축 사업은 히소르 지역에 2만800m² 규모의 첨단 시설원예 단지를 구축하고 온실을 활용한 기후와 병충해에 구애받지 않는 재배 기술을 전수하는 사업이다. 한국의 온실 기술을 바탕으로 현지에 적합한 온실을 개발하고 다시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