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ontact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5-10 10:38 Views 28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

Body

[편집자주] 기후변화는 인류의 위기다. 이제 모두의 '조별 과제'가 된 이 문제는, 때로 막막하고 자주 어렵다. 우리는 각자 무얼 할 수 있을까. 문화 속 기후·환경 이야기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끌고, 나아갈 바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스위스 스타트업 '선웨이즈'(Sun-Ways)가 깔아 놓은 철도 태양광 패널 ⓒ 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취재를 위해 1주일에 적어도 2번은 정부세종청사를 찾는다. 비교적 탄소배출량이 적은 철도를 이용하는데, 지도와 풍경을 보다 보면 철길과 주변은 사실상 '맹지'로 방치돼 있다. 이 자투리땅도 탄소 감축에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이런 상상력에 따른 것인지 스위스에서는 과감한 실험이 올해 시작됐다. 스위스 스타트업 '선 웨이즈'(Sun-Ways)'는 철도 침목 사이에 탈착형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선로를 따라 펼쳐지는 태양광은 별도 토지 없이도 전력을 생산한다. 이 기술은 뇌샤텔주에서 100m 구간을 시작으로 3년간 실증에 들어간다. 선 웨이즈는 장기적으로 스위스 전역 5317㎞ 철도에 적용할 경우 연간 최대 1TWh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는 스위스 전체 소비량의 약 2%에 해당한다.이 시스템은 기존 철도 인프라에 맞춰 침목 사이에 폭 50㎝가량의 모듈형 태양광 패널을 끼워 넣는 구조다. 유지보수를 위해 빠르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됐고, 스위스 철도 유지보수 전문업체가 개발한 기계를 통해 하루 최대 1000㎡를 설치할 수 있다. 눈과 먼지, 진동, 작업 접근성 같은 복합 조건을 모두 고려한 철도 맞춤형 기술이다.국가철도공단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한국 철도의 총 연장은 2019년 기준 약 4274㎞다. 터널이나 도심 구간을 제외하면 약 1280㎞는 설치 가능 구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길이만 따져도 태양광 패널 설치면적은 약 1,280만㎡에 달한다. 여의도 면적의 4.4배다. 이를 통해 연간 생산 가능한 전력량은 약 2TWh, 다시 말해 20억㎾h로 추산된다. 육상풍력 발전기(5MW 기준) 약 152기, 해상풍력(8MW 기준) 71기, 신형 원전 1기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기존 국토를 활용해 새로운 토지 갈등 없이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붕형 태양광은 주민 수용성과 구조 안전성 등의 장벽이 있고 침엽수호 정원 [백두대간수목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봉화=연합뉴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서울식물원과 오는 18일까지 '침엽수호정원' 특별 전시를 한다고 9일 밝혔다.서울식물원 내 야외 전시 공간에 조성된 '침엽수호정원'에서는 우리나라 멸종위기 침엽수들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인 고산 지대 침엽수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고 기후 변화와 자생지 파괴로 위협받는 종의 보전 가치를 일깨우기 위한 목적이라고 수목원은 설명했다.이규명 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은 "멸종위기 침엽수의 중요성을 알리는 등 식물 보전 활동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제보는 카톡 okjebo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