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출신 토머스 신킨 "트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4-27 12:03 Views 35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Related links
Body
국무부 출신 토머스 신킨 "트럼프, 유럽 탈피해 아시아·중동에 더 집중" "美와의 무역·안보 등 패키지 협상에 한국이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트럼프 미국 대통령[미국 대통령 전용기내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금지](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교와 관세 등 대외정책에서 펴고 있는 접근 방식은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ward)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박'이 성공을 거둘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R스트리트 연구소'의 외교안보 전문가인 토머스 신킨 정책부장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29일)을 앞두고 25일(현지시간) 진행한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이고 있는 '관세전쟁', 친러시아 논란을 부른 우크라이나전쟁 휴전 중재 외교, 가자지구 개발 구상, 그린란드 편입·파나마 운하 환수 모색, 이란 핵 협상 등 트럼프가 추진 중인 대외정책을 보면 미국이 실패를 볼 가능성도 크지만 성공시 얻을 이익도 크다는 분석이었다. 그는 또 각국과의 협상에서 안보와 무역 등을 패키지로 다루길 원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른바 '원스톱 쇼핑' 기조는 한국 입장에서 안보 문제의 일부인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중 한국의 부담액)만 별도로 논의하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임할 것을 제언하기도 했다. 신킨 부장은 미 국무부에서 주 유엔 대사·부장관 등 고위인사의 아시아 문제 고문을 역임했다. 다음은 신킨 부장과의 인터뷰 일문일답.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보인 외교와 관세 등 대외정책을 키워드로 평가하자면? ▲그의 접근 방식은 '고위험, 고수익'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세는 의심할 여지 없이 '고위험, 고수익' 정책이다. 결과는 현 단계에서는 전혀 명확하지 않다. 전반적으로 보면 매우 공격적이고 매우 독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는 변혁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나 확실한 것은 유럽 중심에서 크게 탈피해 아시아국무부 출신 토머스 신킨 "트럼프, 유럽 탈피해 아시아·중동에 더 집중" "美와의 무역·안보 등 패키지 협상에 한국이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트럼프 미국 대통령[미국 대통령 전용기내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금지](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교와 관세 등 대외정책에서 펴고 있는 접근 방식은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ward)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박'이 성공을 거둘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R스트리트 연구소'의 외교안보 전문가인 토머스 신킨 정책부장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29일)을 앞두고 25일(현지시간) 진행한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이고 있는 '관세전쟁', 친러시아 논란을 부른 우크라이나전쟁 휴전 중재 외교, 가자지구 개발 구상, 그린란드 편입·파나마 운하 환수 모색, 이란 핵 협상 등 트럼프가 추진 중인 대외정책을 보면 미국이 실패를 볼 가능성도 크지만 성공시 얻을 이익도 크다는 분석이었다. 그는 또 각국과의 협상에서 안보와 무역 등을 패키지로 다루길 원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른바 '원스톱 쇼핑' 기조는 한국 입장에서 안보 문제의 일부인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중 한국의 부담액)만 별도로 논의하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임할 것을 제언하기도 했다. 신킨 부장은 미 국무부에서 주 유엔 대사·부장관 등 고위인사의 아시아 문제 고문을 역임했다. 다음은 신킨 부장과의 인터뷰 일문일답.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보인 외교와 관세 등 대외정책을 키워드로 평가하자면? ▲그의 접근 방식은 '고위험, 고수익'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세는 의심할 여지 없이 '고위험, 고수익' 정책이다. 결과는 현 단계에서는 전혀 명확하지 않다. 전반적으로 보면 매우 공격적이고 매우 독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는 변혁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나 확실한 것은 유럽 중심에서 크게 탈피해 아시아와 중동에 더 집중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런 '고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