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ontac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4-17 21:14 Views 2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

Body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부활절 예배와 만찬에 참석해 프랭클린 그레이엄 목사와 악수를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중 관세 협상의 공을 중국에 넘기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지만 양국 협상이 개시되려면 선행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무역 협상에 대해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보내되 양국 정상이 직접 통화하기보다는 세부 협상을 이끌 미국 측 '담당자'(a point person)가 지정돼야 한다는 게 중국의 속내다.17일 로이터통신은 중국 정부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관세협상에 임하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사전조건을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중국에 대한 비난을 중단하고 존중(respect)을 보이되, 미국의 입장을 보다 일관되게 유지하고 미국의 대중 제재와 대만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해소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소식통은 로이터에 전했다. 지난 3일 JD 밴스 부통령은 "우리는 중국 농민들에게서 돈을 빌려 중국 농민들이 생산한 물건을 사고 있다"고 국제 자유무역 경제를 깎아내렸다. 중국은 밴스 부통령이 "중국 농민"을 거론한 데 대해 상당한 불쾌감을 표명했다.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지난주 "무식하고 무례하다"며 이례적으로 미국 부통령을 직접 비난했다. 무역 협상을 원한다면서 중국의 민심을 긁어선 안 된다는 메시지다.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4일(현지 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2025 대학 풋볼 내셔널리그 챔피언인 오하이오 주립대 풋볼팀 선수들과 기념 행사 중 트로피의 검은색 받침대를 떨어뜨리고 있다. /AFPBBNews=뉴스1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할 때는 비교적 비둘기파적인 입장을 보인 반면, 행정부 내 다른 구성원들은 더 매파적이어서 미국의 입장이 어느 쪽인지 확신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행정부 관리들 사이의 매파적 발언이 트럼프의 묵인인지, 행정부 내 불협화음 탓인지 가늠하기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 15일 무역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중국은 정상 간 대화에서 명확한 결과가 도출되기를 바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불참 트럼프, SNS엔 “큰 진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사진. 백악관에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함께 웃고 있다. 트루스소셜 캡처 양국, 조속한 협상 타결 ‘공감’…두 정상이 공동 발표하기로 이시바 “다음 단계 이어지는 협의…적절한 시점 방미 고려”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에 참고자료가 될 미국·일본 간 첫 장관급 관세 협의에서 양국이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협상을 타결하고 미·일 정상이 결과를 공동 발표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과 면담하면서 일본의 주일미군 주둔 비용 부담 확대와 일본 내 미국산 자동차 판매 확대,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 해소 등 크게 3가지 문제를 거론했다고 아사히신문이 복수의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관련해 “원스톱 쇼핑”을 거론했던 것처럼, 일본에도 관세와 무역, 안보 등을 패키지로 묶어 일괄 협상하려는 것으로 보인다.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났으며 “양측이 솔직하고 건설적인 자세로 협의에 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일본과 협의하는 자리에 참석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만 하고 이후 양측 장관 간 협상에는 참여하지 않았다.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일본과 미국 경제가 모두 강해지는 포괄적 합의를 가능하면 조기에 실현하고자 한다는 이시바 총리 메시지를 전달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을 해야 한다’는 식으로 강하게 말한 것은 전혀 없다. ‘일본이 협의의 최우선’이라고 언급했다”고 말했다.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인 90일 이내에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미·일이 이달 중 다음 협의를 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장관급뿐 아니라 실무급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이시바 시게루 총리도 17일 도쿄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