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아이의 뺨에 땀이 맺혀 있다.[게티이미지뱅크]
Page information
Author oreo Date 25-05-17 11:19 Views 1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Related links
Body
한 아이의 뺨에 땀이 맺혀 있다.[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지난해도 너무 더웠는데”관측 역사상 가장 더웠던 지난 한 해. 최근 태어난 아이들에게는 되레 ‘가장 시원했던 한 해’로 기억될 가능성이 크다. 돌이킬 수 없는 속도의 지구 온난화 때문.실제 2020년에 태어난 어린이가 조부모 세대에 비해 평균 7배가량 많은 폭염을 경험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폭염 피해에 노출된 비중만 전체 83%로 추정된다.이 또한 현재 기후변화 대응책이 유지됐을 때를 가정한 결과. 최악의 경우 2020년 출생자 중 92%가 ‘전례 없는 폭염’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심지어 기온 상승은 가뭄, 흉작 등 여타 재난을 일으켜 일부 계층의 생존을 위협한다. 아이들에 더 안전한 세상을 물려주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분수대에서 어린이들이 즐겁게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임세준 기자비영리 시민단체 세이브 더 칠드런이 독일 브뤼셀 자유대학교 연구팀과 공동 집필한 ‘기후 위기 속에 태어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태어난 어린이는 1960년대에 태어난 조부모 세대에 비해 폭염, 가뭄, 산불 등 기후재난에 최소 2배 이상 더 많이 노출될 것으로 전망됐다.가장 차이가 컸던 것은 ‘폭염’. 2020년생 어린이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평생 6.8배 많은 폭염에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며 각종 피해를 낫는 재난 수준의 더위를 경험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한 상가 건물에 설치된 실외기가 이른 아침부터 가동되고 있다. 임세준 기자그도 그럴 것이, 현재 전 세계 정부가 설정한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모두 달성한다고 해도, 2100년까지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수준에 비해 2.7도가량 오를 것으로 보인다.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하며 175년 관측 사상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를 고려하면, 2100년까지 남은 75년 동안에도 1도 이상의 상승세가 불가피하다.홍수 지역 모습.한 아이의 뺨에 땀이 맺혀 있다.[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지난해도 너무 더웠는데”관측 역사상 가장 더웠던 지난 한 해. 최근 태어난 아이들에게는 되레 ‘가장 시원했던 한 해’로 기억될 가능성이 크다. 돌이킬 수 없는 속도의 지구 온난화 때문.실제 2020년에 태어난 어린이가 조부모 세대에 비해 평균 7배가량 많은 폭염을 경험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폭염 피해에 노출된 비중만 전체 83%로 추정된다.이 또한 현재 기후변화 대응책이 유지됐을 때를 가정한 결과. 최악의 경우 2020년 출생자 중 92%가 ‘전례 없는 폭염’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심지어 기온 상승은 가뭄, 흉작 등 여타 재난을 일으켜 일부 계층의 생존을 위협한다. 아이들에 더 안전한 세상을 물려주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분수대에서 어린이들이 즐겁게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임세준 기자비영리 시민단체 세이브 더 칠드런이 독일 브뤼셀 자유대학교 연구팀과 공동 집필한 ‘기후 위기 속에 태어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태어난 어린이는 1960년대에 태어난 조부모 세대에 비해 폭염, 가뭄, 산불 등 기후재난에 최소 2배 이상 더 많이 노출될 것으로 전망됐다.가장 차이가 컸던 것은 ‘폭염’. 2020년생 어린이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평생 6.8배 많은 폭염에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며 각종 피해를 낫는 재난 수준의 더위를 경험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한 상가 건물에 설치된 실외기가 이른 아침부터 가동되고 있다. 임세준 기자그도 그럴 것이, 현재 전 세계 정부가 설정한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모두 달성한다고 해도, 2100년까지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수준에 비해 2.7도가량 오를 것으로 보인다.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하며 175년 관측 사상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를 고려하면, 2100년까지 남은 75년 동안에도 1도 이상의 상승세가 불가피하다.홍수 지역 모습.[세이브 더 칠드런]이에 보고서는 2020년에 태어난 1억2000만명의 어린이 중 83%(약 1억명)가 평생 ‘전례 없는 수준’의 극심한 더위에 노출될 것으로 추정했다. ‘전례 없는 더위’는 산업화 이전 환경에서는 1만년에 1번 발생하는 수준의 극심한 폭염을 의미한다.이 또한 긍정적인 축에 속한다. 또 다른 시나리오를 가정해 210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