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결을 올리며 백악관이 올린 사진.
Page information
Author test Date 25-08-01 20:17 Views 2 Times Comments 0 The thing isRelated links
Body
한국과관세협상타결을 올리며 백악관이 올린 사진.
백악관 엑스 캡처 미국 백악관이 한국과 미국 간에 전날 타결된 무역 협정에 대해 “대단히 성공적”이라고 평가하며협상타결 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 다섯 번째)을 비롯한 미국 협상단과 한국 정부.
7월 31일 한국과 미국의관세협상이 타결됐다.
'최악을 막았다, 선방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이번협상은 애초에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트럼프의 동맹강탈, 주권침해.
[앵커] 한미 통상협상타결로 상호관세25% 부과라는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첩첩산중입니다.
반도체 품목관세도 아직 정리되지 않았고,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농산물 등 비관세 분야 압박이 거세질 수 있습니다.
한미관세협상을 마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귀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뒤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관세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피가 마르는.
[앵커]관세협상이 타결되기는 했지만, 큰 틀에서 조율을 마친 것일 뿐 세부 사항을 놓고는 추가 협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한미 간에 서로 말이 다른 부분도 있고, 향후 과제로 남겨 놓은 의제도 있어서 줄다리기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과 유럽연합 수준인 15%로 낮췄습니다.
대신 우리는 미국에 3천5백억 달러, 거의 5백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관세협상결과를 오늘(31일) 집중 보도합니다.
[리포트] 막판협상이 될 거란 한미 재무 수장 만남에 앞서.
[앵커] 한미관세협상을 마무리한 대표단, 구윤철 경제부총리,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귀국합니다.
조금 뒤 취재진 앞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인데요.
협상과 관련해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관심입니다.
미국과의관세협상타결에 대해 야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은 15% 관세율을 지적하고 나섰다.
일본 등과 비교했을 때 대미 투자 금액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높다는 이유에서다.
【 앵커멘트 】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과관세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나라들은 '관세폭탄'을 받았습니다.
최대 50%에 이르는 고율의관세가 부과됐는데, 동맹국인 캐나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정부는 농산물 추가 개방에 대한 논의한 사실이 없다고 일축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를 통해 "(한국은) 농산물 등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
Comment list
Registered no comments.